2018년 수능부터 영어가 절대 평가로 바뀐다.

절대 평가의 취지는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점수를 주는 방법으로...아이들에게 공부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란다...

90점 이상이면 1등급....80점 이상이면 2등급...

현재 상대평가보다 아이들에게 부담이 훨씬 적을 거라는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더불어...영어가 90점만 맞으면...되니까...일단 한 발 뒤로 물러나도 된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온다...

지난 주 만났던 어떤 엄마의 말....그 엄마는 이과인 고 2 딸아이가 있다....점수 0.1점 차이로 1등급, 2등급 나뉘는 현재보다...절대 평가가 더 아이들에게 유리 할 거라고...

그녀의 딸이 이번 3월 모의고사에서 받은 영어 점수가 상대평가로 치면 2등급이고 절대평가로 보면 1등급이라고....

그래서 절대 평가 반드시 되어야 한다고....

하지만 난 그 엄마의 말에 반대한다..

절대평가가 무조건 좋은 것 만은 아니다...

일단...영어 변별력이 떨어지면...대학들은....분명...영어 잘 하는 아이들을 찾을 방법을 모색 할 것이다.

학생들의 입장이 아닌 대학의 입장에서 봐야 한다는 이야기...

그렇다면 분명...제일 처음 이야기 나올 것이 고등학교 서열화...

같은 점수대의 일반고와 특목자사고 아이들이 있으면...누구를 뽑을까?

오히려 내신 점수가 더 낮은 특목 자사고 아이들을 뽑을 거다. 특히 외고...

왜? 그 아이들 영어 점수는 일단 믿을 만 하니까....

외고 수업 내용을 보면 영어 시수가 일단 많다...외국어 시수도 많다...

수학 시수가 주 3타임, 국어 시수도 3타임...영어는 전공과는 8타임...비전공과는 6타임...

수업의 내용도 무조건 주입식의 수업이 아닌....

학생 참여 수업과....영어 원서 수업...

다꽁이 다니는 학교는 영어 원서로 햄릿을 쓴다...

그 차이는 대학이 아마도 더 잘 알 듯....

일반고...불리하다...

그리고...시험의 난이도...첫해인 18년도 수능에서는 아마도 영어가 쉽게 나올 듯....

왜?

첫 절대 평가인데...어렵게 내면...절대 평가의 취지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는 거니까...

그래서 1등급 학생들이 무더기로 나오게 되고....그때 되어서야 아차 싶어서...19년 수능에는 어렵게 내지 않을까?

다꽁은 19년 수능...준비..영어에 신경을 써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학생들이....부모들이....각종 미디어 들이....학원들이....영어를 일단 90점만 넘기면 되니까....그 정도까지만 공부하라고 주문한다.

영어의 변별력이 떨어지므로서 높아지는 수학, 국어의 공부 비중을 늘리라고 요구한다.

물론 늘려야 한다...

하지만 내가 수능에서 90점을 넘길지...못 넘길지는 시험을 봐야 알 수 있는 결과...

하지만 4%내에 들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사라지면...아이들은 마음을 놓는다.

결국...수능에서 영어가 폭탄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

이런 저런 생각을 해 보면...절대 평가...무조건 좋은 것도 아닌것 같다.

더구나...오늘 발표 된 서울 소재 대학들의 영어 절대평가 점수 배점표...

할 말이 없다.

1등급이 나오지 못하면....서울 소재 대학은 원서 포기 해야 할 상황...

차라리 상대평가로 등급 맞추기라도 하면....좀더...여유가 생길 수 있지 않을까?

이제는 영어는 기본1등급을 맞추고...수학과 국어와 탐구과목을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아이들에게 부담을 지우지 않는...시험이라는 과연 있을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