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영어 절대평가제 전화....과연 약이 될까? 독이 될까?
올해 중학교 3학년부터 수능 영어를 절대평가제로 전환한다는 기사가 떴다.
과도한 사교육을 줄이기 위해서 라는 말도 안되는 핑계를 대면서...
과연 영어가 절대평가제로 전환되면 사교육이 줄어 들까?
이 기사를 읽는 순간 절대평가제에 속하는 우리 다꽁이를 생각하면서 난 바로 '수학을 어떻게 하지' 라는 걱정을 했다.
수학을 싫어 하는 다꽁....
아니 요즘은 싫어 한다기 보다는 이제 조금씩 즐기고는 있지만....그닥 실력이 쑥쑥 늘어가지도 않고...단지 학교 수업시간에 선생님의 설명을 주변의 아이들보다 조금 더 이해를 한다는 정도.
물론 시험 성적은 이해도와 달리 뭐..기냥 저냥...
난 다꽁의 성향을 봐서 수학은 학교 수업을 따라 갈 정도면 만족했고....조금 더 집중한 것이 영어였다.
그래서 고등학교도 외고를 목표로 잡았고(다꽁도 외고를 생각 하고 있고...)
그에 따라서 외국에 한번도 못 보낸 다꽁이 외고에 가서도 잘 적응할 수있는 최선의 방법이라 생각한 영어 원서 읽기...를 집중적으로 시키고 있었다.
뭐 집중이라고 해도 이번 여름 방학 내내 겨우 The Giver 한권 읽었지만....
하여간....그런데 영어의 변별력이 떨어진다면...수학, 과학, 사회 쪽의 성적이 입시에 많이 반영이 될 테고...지금처럼 편안하게 수학, 과학, 사회를 공부해서는 안된다는 결론....
지금의 수능은 영어, 수학 두 과목 중에서 하나를 특출나게 잘 한다면 그래도 입시에 문이 보였지만...그래서 다꽁의 방향을 영어쪽을 잡았건만....
수능의 방향이 바뀐다면 다꽁에게 지금껏 시키지 않았던 수학을 시켜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과학도..사회도....
엄마들이라면 누구든지...내 아이가 조금 더 좋은 대학을 나와서 사회에서 좀더 안정적으로 자리잡기를 바라는 마음....
그 최선의 길이 공부라고 생각했고....공부 이외의 다른 길을 찾지 못한 다꽁과 나로서는 아이의 특성에 맞는 공부의 방향을 잡아 한발 한발 나아가는 길이었다.
그런데 정치인의 한마디로 인해....우리가 밟아간 그 길이 튼튼한 동아줄이 아닌 썩은 동아줄이라는 걸 알아버린 지금...한숨만 나온다.
과연 다꽁에게 수학 학원이든 과외든 시키고...수학보다 더 성적이 나오지 않는 과학 학원도 찾아 아이를 학원 뺑뺑이를 돌려야 하는 것인가?
참으로 답답하다.
형식적인 시험 평가만 바꾼다고 사교육이 줄어 들 수 있다는 이 편협한 사고...
과연 사교육이 줄어 들까?
2~3년마다 바뀌는 교육 제도가 오히려 부모들을 불안에 떨게 했고...그건 결국 사교육을 더욱더 키우는 악순환....
에구구......참으로....정치인들....정말.....
우리나라 정치인들....모두 싹 바꿔버리고 싶다...